2017년 2월 10일 금요일

글쓰기 요령

현장에서 일하다보면, 
글쓰기를 못하는 친구들이 
업무를 딜레이시키는 경우가 많다. 
.
.
글을 못쓰는 친구들의 공통점은 
1) 사냥개정신이 부족하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정리>가 필수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의 본질이 무엇인지, 
집요하게 생각하고, 정리되어야 글이 깔끔해진다. 
.
그러나 사냥개정신이 약한 친구들은 
정작 자신이 무슨말을 하고싶은지,
어떤 삶을 살고있는지 집요하게 정리하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글이 복잡하다. 
.
항상 다시금 물어야한다. 
"요점이뭔데?"
이들은 끈질기게 물고늘어지는 
사냥개정신부터 키워줘야했다. 
.
.
2) 자기확신이 약하다. 
이들은 좋은 책과, 사람을 만날때마다
그 사람을 지나치게 칭송한다. 
그러나 정작 자신의 글을 쓰려고 하면 
할말을 잃는다. 
.
인용구에 심취해, 자기생각이 없다보면 
글이 밋밋하고 힘이없다. 
그러다보니 만들어진 아웃풋도 밋밋하다. 
.
이들은 메뉴선택부터 단호하게 
자신을 표현하는것부터 훈련시켜야 했다. 
.
.
3) 자기와의 대화가 부족하다. 
좋은 글을 쓰고자 한다면,
내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이 있어야한다.
.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들여다보지 못한 친구들은
상대의 마음도 들여다 보지 못한다.
.
자기관찰없이는, 절대 가슴을 울리는 아이디어, 영감을 
얻지 못한다. 정말 인간의 1차원적인 욕망까지
나를 홀딱 벗겨놓고 더 벗겨놔야 적을 수 있는게
글이자 상대의 니즈파악이다. 
.
따라서, 이들에게는 솔직하게 자신을 벗겨두고
일기쓰는 것 부터 연습시켜야했다.
의지나, 자기반성만 적힌 초등학생 일기 말고. 
진실된 자신의 욕망이 적힌 일기 말이다. 
.
.
4) 상대의 뇌에 그림그리듯 설명하는 힘. 
글을 못쓰는 친구들의 공통점은 
상대방의 머릿속에 내가 하고있는 생각을 
어떻게 그림그려줘야할지 모른다.
.
그말은 역으로 본인 생각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
글을 쓰기전에는 그림을 그려야한다. 
어떤 순서로 내가 이야기를 할 것인지 
내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면 
혼자만족하는 글이 되어버린다.
.
이들의 글들은 늘 보기가 불편하다. 
상대의 가독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
이들은 글쓰기가 아니라 생각을 그림으로 
구조화시키는 것을 연습시켜야했다. 
.
.
5) 결국은 많이 써봐야한다.
여러 훈련법이 있다.
그러나 최고의 훈련은 단연, 꾸준히 쓰는것이다. 
.
하루에 한번, 글 쓰기를 놓지 않으려 하는 힘을 
나는 개인적으로 믿는다. 
발레하는 사람이 며칠 춤을 놓으면 선이 깨지는 것 처럼. 
글도 마찬가지. 
.
글을 쓰는 것은 단순히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나의 자아를 건강하게 만드는 수련이다. 
아끼는 이들일수록 나는 글쓰기를 추천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