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5일 목요일

새 뇌세포를 자라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12성인인 우리가 새 신경세포를 만들 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상당히 새로운 연구분야이기 때문에 여전히 혼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제 동료인 로버트와 대화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로버트는 종양학자였는데 저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산드린, 나 이게 이해가 안되는데 암에서 완치됐다고 통보받은 일부 환자들이 여전히 우울증 증세를 보여."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내가 보기엔 말이 되는 거 같아. 네가 환자에게 처방하는 암세포 증식을 막는 약이 뇌 속에서 새 뉴런이 형성되는 것도 막으니까." 로버트는 저를 미친사람처럼 쳐다보고는 말했습니다. "그치만 산드린, 이 환자들은 성인이야. 성인은 새 신경세포를 만들지 않아." 저는 의외의 답을 해주었습니다. "아니, 성인도 그렇게 해." 이 현상은 우리가 신경발생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1:12[신경발생]

1:14지금 로버트는 신경과학자가 아닙니다.. 그는 의대를 다닐 때,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성인의 뇌가 새 신경세포를 생성한다는 걸 배우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좋은 의사이기에 이 주제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제 연구실로 오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그에게 신경발생에 있어서 뇌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을 보여주었습니다. 대뇌 측두엽에 있는 해마죠. 해마는 뇌 중앙에 있는 회색 부분입니다. 우리는 이미 오랫동안 해마가 학습과 기억, 감정과 정서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최근에 알아낸 것은 해마가 새 뉴런을 형성할 수 있는 성인 뇌의 독특한 조직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해마를 잘라서 가까이 들여다보면 여기 파랗게 보이는 것이성인 쥐의 뇌 속에 있는 새로 태어난 뉴런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뇌에 적용해보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일하는 제 동료 요나스 프리젠은 우리가 해마에서 하루에 700개의 새 뉴런을 생성한다고 추정했습니다. 우리의 수 십억 개 뉴런과 비교하면 적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50세가 될 때쯤에는 우리가 갖고 태어났던 모든 뉴런을 해마 속에서 태어난 뒤 만든 뉴런으로 다 교체했을 겁니다.

2:54그럼 새 뉴런이 왜 중요하고 무슨 기능을 가질까요?먼저, 학습과 기억에 중요하다는 건 알고있습니다.우리가 보여드린 실험에서 성인 뇌 속 해마의 새 뉴런을 만드는 기능을 막아버리면 일부의 기억 능력도 차단됩니다. 도시에서 길을 찾는 데 쓰이는 공간지각능력의 경우 특히 더 새로운 사실이지만 해당됩니다.

3:25우리는 아직 많이 배우는 중이고 뉴런은 기억 용량뿐만 아니라 기억의 질을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기억에 시간을 더해주는 데나 비슷한 기억을 구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매일 역의 같은 곳에 세워두지만 살짝 다르게 놓아 둔 자전거를 어떻게 찾는가 하는거죠.

3:51제 동료 로버트가 더 흥미를 가졌던 것은 우리가 신경발생과 우울증에 관해 하고 있던 연구였습니다.동물이 우울증을 앓고있는 경우 우리는 신경발생이 더 적게 일어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이 경우 항우울제를 투입하면 새 뉴런의 발생은 증가하면서 우울증 증세는 완화됩니다. 신경발생과 우울증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확립해 줍니다. 하지만 신경발생만 차단한다면 항우울제의 효과까지 차단하게 됩니다.이 때 쯤 되자, 로버트는 환자들이 암에서 완치되고도 우울증에 시달리는 이유가 항암제가 새 뉴런이 발생하는 것을 막았기 때문일 확률이 크다는 걸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새 뉴런을 발생시키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겁니다.

4:48이제 우리는 전체적으로 기억형성이나 기분을 개선하거나 노화와 관련된 퇴화를 막고 싶으면 신경발생이 선택 목표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말할 증거가 충분합니다.

5:07다음 질문은, 우리가 신경발생을 통제할 수 있는가 입니다. 가능합니다. 이제 간단한 퀴즈를 하나 풀어볼 겁니다. 제가 동작이나 활동을 여러 개 보여드릴텐데 여러분이 생각하기엔 신경발생을 증가시킬지 감소시킬지 말해주세요. 준비되셨나요? 시작합니다.

5:31무언가를 학습하는 건 어떤가요? 증가시키나요? 맞아요. 학습은 새 뉴런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5:39스트레스는 어떨까요? 맞습니다. 스트레스는 해마 속 뉴런 발생을 감소시킵니다.

5:47수면부족은요? 맞아요, 신경발생을 감소시킵니다.

5:53섹스는요? 어머나!

5:56(웃음)

5:57맞아요, 새 뉴런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그렇지만 균형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너무 섹스를 자주해서

6:06(웃음)

6:08수면부족이 오는 건 원하지 않아요.

6:10(웃음)

6:13노화는 어떨까요? 신경발생률은 우리가 늙어갈수록 감소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발생하긴 하죠.

6:25마지막으로, 달리기는요? 그건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6:32이건 제 멘토인 러스티 게이지가 솔크연구소에서 하신 초기 연구 중 하나입니다. 새 뉴런 발생에 환경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걸 보여주죠. 이건 쳇바퀴가 없는 우리에 있었던 생쥐의 해마 단면입니다. 보이시는 검은 점들이 새로 발생될 뉴런입니다. 이번에는 우리에 쳇바퀴가 있었던 생쥐의 해마 단면입니다.새 뉴런이 될 검은 점이 급격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죠.

7:07활동은 신경발생에 영향을 주지만 그게 다가 아닙니다. 식생활도 해마의 새 뉴런 발생에 영향을 줍니다.예시로 효과가 있다는 게 입증된 영양소로 구성된 식단이 하나 있습니다. 몇 가지만 짚어드리겠습니다. 20-30% 칼로리를 줄이는 것은 신경발생을 증가시킵니다. 끼니 사이에 시간을 두는 간헐적 단식은 신경발생을 증가시킵니다. 블루베리나 다크초콜릿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섭취는 신경발생을 증가시킵니다. 연어같이 지방이 많은 생선에 들어있는 오메가-3 지방산은 새 뉴런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반대로, 포화지방이 많이 든 식단은 신경발생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술을 마실 때 섭취하는 에탄올은 신결발생을 저하시킵니다. 하지만 다 그런건 아닙니다. 적포도주에 함유된 레스베라트롤 성분은 새 뉴런의 존속을 촉진시키는 게 밝혀졌습니다. 그러니까 다음에 저녁 만찬에 가시면 "신경발생 중립적"인 음료를 마시는 게 좋을 겁니다.

8:20(웃음)

8:23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짚어드릴게요. 특이한 겁니다. 일본인들은 음식의 촉감에 끌리는데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식습관이 신경발생을 저해하는 걸 보였습니다. 씹어야 하는 바삭한 음식과는 다르게 말이죠.

8:41우리가 세포 단위로 관찰해야하는 이 모든 정보는동물 표본으로 사용해 얻은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람인 참여자에게도 이 식단이 제공되었고 우리가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식습관이 신경발생을 조절하는 방식과 같은 식으로 기억과 기분을 조절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칼로리 제한은 기억 용량을 개선하는 반면 지방함량이 높은 식습관은 우울증 증세를 악화시킵니다.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은 신경발생을 증가시키고 우울증 증세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식습관이 정신건강과 기억, 기분에 미치는 영향이 해마에서 발생되는 새 뉴런에 의해 조절된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뭘 먹는지만이 아니라 먹는 음식의 촉감과 양도 중요합니다.

9:44신경발생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신경과학자들은 새 뉴런의 기능과 어떻게 이것의 발생과 존속을 통제할 수 있을지에 대해 더 잘 알아야합니다. 로버트의 환자의 신경발생이 일어나도록 보호해 줄 방법도 찾아야합니다. 여러분들께는 본인 스스로의 신경발생을 맡기겠습니다.

10:06감사합니다.

10:07(박수)

10:13마가렛: 멋진 연구네요. 말씀드렸지만 당신은 제 인생을 바꿔놓았어요. 전 이제 블루베리를 많이 먹어요.

10:20산드린: 아주 좋아요.

10:22마가렛: 제가 달리기에 관심이 많은데요, 꼭 뛰어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뇌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에어로빅 운동을 하면 되는건가요? 다른 운동이라도 격렬하면 상관없나요?

10:35산드린: 현재로서 우리는 달리기 그 자체를 해야하는지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하지만 뉴런의 발생과 뇌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는 건 무엇이든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10:50마가렛: 그럼 사무실에 쳇바퀴를 갖다놓지 않아도 되는거죠?

10:52산드린: 네, 안그래도 돼요!

10:53마가렛: 다행이네요! 정말 좋아요. 산드린, 정말 감사합니다.

10:57산드린: 감사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