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24일 토요일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카카오스토리
1월 19일 오후 05:55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힘 있는 지식인이 되기 위한 필수 기초 교양!
어김없이 오늘도 우리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다. 어제 본 드라마부터 시작되는 대화는 늘 같은 패턴이지만, 오늘따라 왜인지 시시한 기분이 든다. 곧 색다른 주제의 대화를 이어가려 하지만 금방 지식에 한계가 오는 듯하다. 
문득 자신의 부족한 지식수준을 채우기 위해 공부를 시작해야겠다고 절감하지만, 금세 막막해져온다. 대체 어디서부터 얼마만큼 알아야 하는 걸까? 
 
개인이 가진 전문적인 지식은 먹고사는 데 필수적이지만, 타인과 대화할 때는 
외려 넓고 얕은 지식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그 지식이란 무엇일까? 
바로 내가 발 딛고 사는 ‘세계’에 대한 이해다. 세계에 대한 이해는 결국 세계에 발 딛고 있는 ‘나’를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다시 ‘나’에 대한 이해는 한층 더 깊게 ‘세계’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이제, 지적 대화를 위해 먼저 ‘세계’부터 찬찬히 여행해보자.  
 
 
지식에 대한 위인들의 명언 
 
1. 가난은 많은 뿌리를 갖고 있습니다.그러나 큰 뿌리는 무식입니다. 〓 존슨 
 
2. 글자 한 자 모를지라도 시의(詩意)를 가진 자는 시가(詩家)의 참맛을 얻을 것이요. 게(偈, 불교 글귀) 한 구절 연구하지 않더라도 선미(禪味)를 가진 자는 선의 현기(玄機)를 깨닫느니라. 〓 채근담 
 
3. 나는 단 한 가지 사실만은 분명히 알고 있는데 그것은 내가 아무 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 소크라테스 
 
4. 나는 인용구는 싫다. 너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말해다오. 〓 R.W. 에머슨 
 
5. 내 자신의 무식을 아는 것은 지식에로의 첫걸음이다. 〓 바이런 
 
6. 노력하지 않고 얻어지는 지식은 아무리 많이 쌓여도 무익한 것이다. 그러한 박식함은 열매를 맺지 못하는 무성한 잎에 불과하다. 자기 자신의 힘으로 얻은 지식은 그 지식의 머리 속에 자취를 남기는 법이다. 우리는 그 지식에 의하여 우리가 처세하여 갈 길을 알 수 있게 된다. 〓 리히텐베르크 
 
7. 단순히 암기해서 얻은 지식은 지식이 아니며 부단히 노력해서 얻은 지식만이 진정한 지식입니다. 〓 톨스토이 
 
8. 당신이 알고 있을 때는 똑똑히 알고 있다고 말하고 잘 모르고 있을 때는 솔직하게 모른다고 시인하는 것이 바로 참된 지식이다. 〓 공자 
 
9. 당신이 좋은 책을 읽고 지식을 얻는 것은 남을 업신여기기 위한 것은 아니다. 남을 도울 수 있고 남에게 무엇인가 줄 수 있는 힘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고독의 창문을 열고 보라. 배운 것을 실제로 사용할 때가 많다. 〓 에픽테토스 
 
10. 당신이 지식을 쌓아가지 않는 것은 실은 지식을 감소시키고 있는 것이 된다. 〓 히레르 
 
=============================== 
2015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1년에 100권 읽기 프로젝트를 완성을 도와줄
독서클럽 어플이 만들어졌습니다. 모두모두
읽고 있는 책들을 기록해 보세요! 함께 하면
할 수 있습니다! ^-^  
 
 
독서클럽 어플 다운받기(아래 링크클릭)
http://goo.gl/qsD7Uj  
 
 
*자기계발 추천도서 모음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http://bit.ly/14VAvpP 
 
내 인생의 탐나는 자기계발
http://bit.ly/17Y8nV8 
 
성공하는 사람들의 8번째 습관
http://bit.ly/14VARgf 
 
나는 자기계발서를 읽고 벤츠를 샀다
http://bit.ly/14VB3fe

이전 댓글 보기

  • 뷰티SecretJ님의 프로필 이미지

    뷰티SecretJ1월 20일 오후 10:57

  • 정용준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용준1월 21일 오전 01:54

    책은 마음에 양식이라 말슴이 꼭만는것같네요 좋은글 알고나면 기분도 좋아지고 참 좋은들 감사합니다  마음에 양식 많이 파십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