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30일 수요일

일이 하기 싫을 때, 일을 할 수 있는 방법

2014-04-24일이 하기 싫을 때, 일을 할 수 있는 방법하이디 그랜트 할버슨(Heidi Grant Halvorson)

20140214_2_m

차일피일 미루어 두었던 프로젝트의 마감일이 가까워 오고마음은 점점 불편해진다클라이언트한테 전화도 해야 한다또 쓸데없는 말이나 들어줘야 하겠지만 말이다그러고 보니 올해는 운동을 좀 해 보려고 했던 것도 같은데

 

해야 할 일들을 제때 했을 때 얼마나 마음이 가벼운지 알고 있는가그렇게 하는 것이 얼마나 더 효율적인지얼마나 더 행복한지는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행복감을 맛보고 싶은 이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몇 가지 적절한 처방을 통해 우리를 끊임없이 미루게 하는 습관들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는 것이다어떤 처방이 효과적일지는 당신의 사정에 따라 다르다.

 

상황 1. 망칠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에 일을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 처방: ‘예방적 동기로 전환하라.

우리는 업무에 대해 두 가지 관점을 가질 수 있다하나는 업무를 성취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예를 들면, ‘내가 만약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낸다면상사에게 잘 보일 수 있겠지’, 혹은 ‘규칙적으로 운동한다면훨씬 더 멋진 몸을 만들 수 있을 거야와 같은 것들이 이에 해당된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일컬어 ‘향상적 동기라 부른다연구에 따르면성취에 대한 동기부여가 된 사람들은 더욱 간절해지고 낙관적이 된다그리고 그러한 상태에서 최상의 결과를 낸다그럴싸한 말이다그러나 당신을 계속해서 미적거리게 하는 이유가 해당 업무를 망쳐버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향상적 동기란 적어도 이런 상황에서는 옳은 처방이 아닐지도 모른다일을 망칠지도 모른다는 의구심이나 불안감은 향상적 동기를 꺾는 요인이며당신으로 하여금 쉽사리 일에 착수할 수 없게 한다.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업무 자체를 불안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주어진 업무를 단지 현재의 상황을 잘 견뎌내기 위한 것쯤으로 받아들여라. ‘예방적 동기에 의해 일을 한다는 것은업무를 현상유지를 위한 수단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다이는 단지 개인적 손실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이 관점에서 볼 때업무를 성공적으로 끝낸다는 것은 상사를 덜 화나게 한다거나아니면 그가 나에 대해서 덜 생각하게 만들기 위함이다운동 역시 몸무게가 더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내 책 Focus에서도 언급했듯이수십 년 간의 연구에 따르면예방적 동기는 오히려 무언가 잘못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의해 촉진된다고 한다당신이 손실을 피하는 데 집중한다면한시라도 빨리 일에 착수하는 것이 손실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사실은 자명해진다당신이 손실에 대해 걱정하는 만큼더 빨리 그것을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말들이 그렇게 좋게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안다특히나 당신이 줄곧 향상적 동기에 의해 일하는 타입이었다면 더욱 더 그럴 것이다그러나 이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망칠 것이 두려워 아무것도 못하게 되는 비참한 결과를 상기시키는 것보다 더 좋은 처방은 없다비참한 상황을 상상하며 스스로를 긴장시켜라기분은 안 좋겠지만이만한 방법도 없다.

 

 

상황 2. 그냥 지금 할 기분이 아니다.

▶ 처방: ‘기분을 무시하라그리고 그냥 시작해라.

올리버 버크먼(Oliver Burkeman)의 저서 The Antidote에 따르면우리가 종종 하는 말들예컨대 ‘아침 일찍 일어나기가 힘들어’, 혹은 ‘운동하러 가야 하는데와 같은 말들이,사실은 지금 그것을 할 기분이 아님을 뜻한다고 한다누가 당신을 아침마다 침대에 묶어두거나 운동하러 가지 못하게 막는 것이 아니다실제로 우리의 행동을 막는 것은 없다그냥 당신은 그 일을 할 기분이 아닌 것이다그런데 그런 기분이 들 때까지 기다렸다가 일을 해야 한다는 법이 있는가?

 

잠깐 그것부터 짚고 넘어가자왜냐하면 그건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우리는 그것에 대해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채로 아무 이유 없이 그것을 믿고 있다동기부여가 되기 위해서 혹은 효율적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그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는 것 말이다사람들이 왜 이렇게 믿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것은 완전히 터무니없는 생각이다어떤 궁극적인 차원에서는 그러한 목표의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예컨대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싶다든지건강해지고 싶다든지아니면 하루를 일찍 시작하고 싶다든지 하는 것들 말이다그러나 현재 그것을 당장 실행에 옮기는 데 있어서 당신의 기분이 어떠한지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버크먼이 지적했듯이다작을 하는 예술가나 작가들은 당장 얼마나 그 일이 하고 싶은지혹은 현재 어떤 상황인지(가령 숙취가 있다든지)와 상관 없이 정해진 일과를 따르는 것이 그들로 하여금 일정 시간을 일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실제로 그렇게 해왔다고 한다버크먼은 유명 예술가인 척 클로스(Chuck Close)의 말을 인용한다. “영감을 받아야만 일하는 것은 아마추어들이나 하는 짓이다우리는 그냥 나와서 일한다.”

 

상황 3. 어렵고 지루하고 재미 없는 일이라 하고 싶지 않다.

▶ 처방: ‘if-then’ 플랜을 사용하라.

우리는 이런 상황을 보통 엄청난 의지를 발휘하여 극복하고자 한다. ‘다음엔 꼭 하고 말겠다라는 식으로 말이다그렇지만 우리가 그 정도로 의지가 강한 사람이었다면아마 벌써 그 일을 해내지 않았을까연구 결과에 따르면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의지력을 과대평가하며급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주 그러한 생각에 의존한다고 한다.

 

그냥 편하게 생각해라그리고 당신의 의지력이 무한한 것이 못 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라그리고 당신이 어렵고 지루하다고 생각했던 그 일이실제로는 그렇게 도전적인 과제가 아닐지도 모른다대신, ‘if-then’ 플랜을 사용해 보자.

 

if-then’ 플랜은 단지 일을 끝마치기 위한 단계적인 계획이 아니다이는 언제어디서 일할 것인 것 까지를 계획하는 것을 뜻한다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말이다.

 

만약(if) 두 시가 된다면, (then) 나는 내가 하던 일을 그만 두고 상사가 요청했던 그 일을 시작할 것이다

만약(if) 상사가 나의 임금 인상 요구를 회의 때 언급하지 않는다면, (then) 나는 회의가 끝나기 전에 그 말을 상기시킬 것이다.

 

무엇을 언제 어디서 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해 놓는 것을 통해실제로 일을 시작해야 할 시점에 망설이지 않을 수 있다.  ‘진짜 지금 해야 하나?’, ‘다음에 하면 안 되나?’, 혹은 ‘다른 일을 먼저 하는 게 낫겠다와 같은 생각을 안 해도 된다는 것이다보통 쉽지 않은 결정을 해야 할 때우리는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그러나 if-then 플랜은 결정적인 상황이 오기 전에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만듦으로써 이러한 생각들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해준다실제로, if-then 플랜이 목표 달성률과 생산성을 평균적으로 200-30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200여개의 연구 결과들이 있다.

 

내가 여기서 언급한 세 가지 전략실패 상황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무시하는 것그리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은 아마도 ‘열정을 따르라거나 ‘긍정적인 생각을 하라는 식의 말들처럼 듣기 좋은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그렇지만 이는 다른 어떤 방법들보다도 확실하게당신을 효율적으로 일하도록 해 줄 것이다.

 
번역 |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장은빈

 

Heidi Grant Halvorson

Heidi Grant Halvorson박사는 <성공하는 사람들이 잘 하는 9가지>의 저자이며컬럼비아 비즈니스 스쿨의 모티베이션 연구소 부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